216.73.216.65
IP user
최근 변경
목차
최근 변경
최근 토론
메뉴
설정
라이트 테마로
다크 테마로
내 문서 기여 목록
내 토론 기여 목록
내 편집 요청 목록
로그인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공지
clearsky vue 포팅 버전이 지원 예정입니다.
이동
삭제
역사
ACL
이동
삭제
역사
ACL
대한민국 대통령
(r3 문단 편집)
[오류!]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우회 수단 #34760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우회 수단(IPinfo 문제로 관련 정보 수집 불가) | 로그인 후 활동하시길 바랍니다.
RAW 편집
== 출신 == ||<tablealign=center><bgcolor=#ffffff,#1f2023><tablewidth=600><tablebordercolor=#005ba6>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1e5a504ca4750bb73290992b31e0ef382a9d2fb2381ef1f5ea380ce9fe5b813.png|width=100%]]}}} || ||<bgcolor=#005ba6><color=#ffc224> '''대한민국 대통령 출신지''' || 대한민국은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 집중(편향) 현상이 심각하여 [[서울 공화국]]이란 말까지 나도는 상황이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역대 대통령 중 수도권 출신 대통령은 제20대 대통령인 윤석열 밖에 없다. 이러한 원인으로 현재는 대한민국의 인구 분포를 봤을 때 인구의 절반이 넘는 숫자가 수도권에 편중되어 있지만, 이는 [[1970년대]] 이후 급격한 [[산업화]]와 [[이촌향도]] 현상에 의한 것으로, 이전 세대들 중에서 [[서울특별시]]나 경기권 본토 출신은 인구수가 적기 때문이다. 참고로 현재까지 가장 늦은 시기에 태어난 대통령은 제20대 [[윤석열]]{{{-2 (1960년 생)}}}으로, [[서울특별시]] [[성북구]] 출신이다.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 출신 대통령도 2022년이 되어서야 처음 탄생하였으며[* 하지만 그 [[윤석열]] 또한 [[윤기중|부친]]이 [[충청남도]] 출신이다. 완전한 서울 토박이는 아닌 셈.], [[서울특별시]] 출신만 나왔고 아직 [[경기도]]나 [[인천광역시]] 출신 대통령은 없다. 대한민국 인구 분포와는 정반대인 셈이다. [[이촌향도]] 시기에 정착한 상경민들이 결혼하고 낳은 자식들은 보통 1970년생~1980년대생 이후인데, 실제로 서울특별시 출신 인구가 급증한 시기가 이 세대이다. 심지어 [[경기도]] 지역은 서울특별시가 인구 과포화가 되어 외곽으로 사람들이 밀려나는 시기인 [[21세기]]가 되어야 인구가 폭증하기 시작하며, 그 이전엔 오히려 [[경상남도]] 등 타 도에 비해서도 [[시(행정구역)/대한민국|시]]가 적고 [[군(행정구역)/대한민국|군]]이 많았다. 따라서 세월이 지나 이 세대가 대통령에 오를 법한 나이가 되기 전까지는 이러한 현상이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 외에도 [[부산광역시]], [[광주광역시]], [[대전광역시]] 등 지역 대도시 출신이 아직 한 명도 없고 [[거제시]], [[신안군]] 등 주변 소도시 출신만 있었다는 점에서 전체적으로 [[이촌향도]] 이전의 인구 분포와 일치하는 경향이 있다. [[황해도]] 출신의 [[이승만]]과 [[전라남도]] 출신의 [[김대중]], [[일본]] [[오사카]] 출신의 [[이명박]],[* 태어난 곳은 [[일본]]이긴 했지만, 만 3세가 되는 광복 직후 국내로 귀국하여 [[경상북도]] [[영일군]] 및 [[포항시]]에서 유년 시절의 대부분을 성장하여 사실상 경상도 출신으로 분류되는 해석도 존재한다. 본인 스스로도 경상도 출신으로 정체성을 갖고 있어[[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07/07/25/2007072500014.html|#]] 대선 당시 경상도를 지역 기반으로 삼을 정도였으며, 언론에서도 경상도 출신으로 해석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203766615867584&mediaCodeNo=257|#]]] [[서울특별시]] 출신의 [[윤석열]], 그리고 실권이 없었던 [[충청도]] 출신의 [[윤보선]]과 [[강원도]] 출신의 [[최규하]]를 제외하면 13명 중 7명이 [[경상도]] 출신이다.[* 다만, 박근혜의 경우 말 그대로 태어난 장소만 [[대구광역시]]였을 뿐, [[직업군인|아버지의 직업]]상 서울 등 전국을 돌아다니며 성장했고, 실제로 말투도 [[경상도 사투리]]가 아니라 [[충청도 사투리]]가 섞인 [[서울말]]을 구사한다.] 국가원수를 특정 지역에서 많이 배출하는 현상은 [[미국]]의 [[버지니아 주]]처럼 다른 나라에서도 나타나는 현상이지만, 한국의 경우 유독 그 쏠림의 폭이 더욱 큰 편으로, 1950년대까지만 해도 [[경상도]]와 [[전라도]]의 인구 차이가 크지 않았다는 점을 생각하면 경상도 쏠림이 유독 심한 것이 특이점이다. 이는 [[보수정당]]은 자연히 영남 출신이 많았지만, 민주당에서도 호남이 아닌 영남 후보를 내세워야 승리할 수 있다는 [[영남후보론]] 공식이 존재했기 때문이다. [[영남후보론]] 문서 참조. 아직 대통령을 전혀, 혹은 거의 배출하지 못한 지역에서는 지역 출신 대통령 대망론이 화두에 오르기도 한다. 가장 유명한 대망론으로는 [[충청 대망론]]이 있다. 그 외에 [[강원 대망론]]의 [[이광재]], [[제주특별자치도]]의 [[원희룡]], [[울산광역시]]의 [[김기현]] 등이 종종 언급된다.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 윤석열 후보가 당선되면서 '''정부 수립 74년 만에 최초의 서울특별시 출신 대통령이 탄생했다.''' 재밌는 점은 대통령 관련 인물들은 서울특별시 출신이 이미 많다는 점. '대통령'이 아닌, '행정부 수반'으로 따진다면 제2공화국 [[내각제]] 하에서의 [[장면]] 전 총리[* 장면과 더불어 단 둘뿐인 내각제 총리 중 나머지 1명이자 장면의 전임자인 [[허정]] 전 총리는 [[부산광역시]] 태생이었다.]가 서울특별시 태생이다. 또한 6공 이후 [[대한민국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았던 [[고건]]과 [[황교안]] 2명 모두 공교롭게도 서울특별시 출신이다. [[영부인/대한민국|영부인]]도 [[이희호]]와 [[김정숙]], [[김건희]] 3명이 서울특별시 출신이다. 이는 대한민국 대통령 자리가 엘리트 출신이 독점하기 보다는 공무직과 별 관련 없다가 '대권주자'로 급부상하는 경우가 많은 반면, 행정부 수반이나 총리는 엘리트 출신이 많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영부인의 경우, 이촌향도 시기 이전까지는 서울특별시 출신의 여성들이 고등 교육을 받을 기회가 많았고 이승만과 노무현을 제외한 역대 모든 대통령들이 모두 결혼 적령기에는 서울특별시에서 활동했기 때문으로 추측할 수 있다. 대표적인 케이스가 문재인 전 대통령인데 문재인은 정치 입문 전에는 계속 부산광역시에 거주했지만 예외적으로 결혼 적령기인 대학교 재학 시절과 사법연수원 시절에는 학업을 위해 서울특별시에 거주했었다. 이 때 서울 출신인 김정숙을 만나 결혼했다. [[북한]] 지역 출신 대통령은 [[이승만]] [[전직 대통령|전 대통령]]이 유일하다. 20세기만 해도 실향민 출신 정치인들이 많았고, 이 중에 유력 대권 주자로 성장하는 경우도 더러 있었으나[* [[황해도]] 출신의 [[이회창]], [[미수복 강원도]] 출신의 [[정주영]]이 대표적이다. 다만 이회창의 경우 태어난 곳만 황해도일뿐 어린 시절은 외가인 전라도에서 보냈으며 선대들 역시 충청도 사람들이라 실질적으로 충청도 출신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2020년대 들어서 이들은 대부분 고령으로 인해 사망했거나 정계를 은퇴하였고 현재 현역 실향민 정치인은 [[김진표]] [[대한민국 국회의장|국회의장]] 정도가 유일하다[* 황해도(출생당시엔 경기도로 편입되어 있었다.) 연백군 출신]. 21세기에 접어들어선 실향민 대신 [[북한이탈주민|탈북민]]의 정치 참여가 늘고 있고 [[태영호|최초의 지역구 국회의원]]도 배출하였지만 현실적으로 대선에서 지역 기반의 중요성을 고려하면, 통일이 되지 않는 이상 북한 출신 대통령은 당분간 나오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설령 통일이 된다고 한들 출신 지역 때문에 수십년간은 북한 지역 출신 대통령은 나오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im preview
닫기
사용자 문서
문서 기여 내역
토론 기여 내역
(없음)
×
설정
위키
토론
스킨
테마
자동 (시스템 설정)
라이트
다크
표 워드랩 사용 안 함
사용
문단을 기본으로 접기
사용
접기 문법을 기본으로 펼치기
사용
취소선
보이기
취소선 제거
숨기기
각주 표시 형식
브라우저 기본
팝오버
팝업
기본 편집 모드
편집기
RAW 편집
상대 시간 표시를 사용하지 않음
사용
취소선
보이기
속성 제거
숨기기
굵음
보이기
속성 제거
숨기기
항상 메뉴 제목 표시
사용
항상 도구 제목 표시
사용